hello world!/JavaScript(13)
-
부정호와 부등호
/* '!' 느낌표는 부정을 의미한다. */ '같다'의 부정은 '같지 않다'이다. 기호로는 '!='로 표시, 아래의 결과는 !=의 결과인데 ==와 정반대의 결과를 보여준다. !== > 결과값이 반대로 나온다 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 /* 부등호 */ >= 좌항이 우항보다 크거나 같다
2021.07.01 -
연산자
/* 대입연산자 */ a = 1 변수 대입연산자 값 컴퓨터에게 a라는 변수에 1 이라는 값(상수)을 대입해라 는 명령을 연산자를 통해서 하고있는 것. 상수 = 바뀌지않는 값 / 변수 = 바뀌는 값 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 /* 비교연산자 */ ≤ ≥ 주어진 값들이 큰지, 작은지, 같은지, 다른지 구분하는것 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 /* 동등연산자 = equal operator */ == 좌항과 우항을 비교해서 서로 값이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. 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 /* 일치연산자 = strict equal operator */ === 좌항과 우..
2021.07.01 -
변수
변수 Variable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는 var 로 시작한다 (변수선언) 뒤에 변수이름을 적어준다 변수는 코드의 재활용성을 높여준다. (초기값이 변경되었을 경우 초기값만 바꿔주면 초기값이 사용된 다른 모든것들을 수정하지 않아도 된다.) var a = 1; 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 변수값이 숫자만 들어가는것은 아니고 문자도 넣을 수 있다. 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 var을 한번에 여러가지 변수값을 지정할수도 있다. 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 변수 사용 전 변수 사용 후 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‥ 코드의 유지보수를 위해 변할 수 있는 부분과 변할 수 없는 부분을 구분하며 만들면 좋은 코드가 된다 :)
2021.07.01 -
숫자와 문자
number = 숫자 자바 스크립트에서 큰 따옴표나 작은 따옴표가 붙지 않는 숫자는 숫자로 인식한다. 프로그래밍에서 곱하기는 * 별모양을 사용한다. 자바스크립트로 연산을 하고싶은경우 Math.pow(3,2); 3의2승 = 9 Math 안에 pow라는 명령이 있어서 이런식으로 사용이 가능하다. Math 는 카테고리라고 생각하면 쉽다. Math 카테고리 안에 있는 pow를 선택하기위해 사이에 . 으로 구분해준다 Math.pow(3,2); // 9, 3의 2승 Math.round(10.6); // 11, 10.6을 (반올림) Math.ceil(10.2); // 11, 10.2를 올림 (가까운 정수로 올려줌) Math.floor(10.6); // 10, 10.6을 내림 (가까운 정수로 내려줌) Math.sqrt..
2021.07.01 -
; (세미콜론)
세미콜론 ; - 명령이 끝났다 선언하는 부호
2021.07.01 -
주석
주석, comment 참고사항 등을 입력하여 코드에대한 설명을 기입하거나 어떤코드를 일시적으로 비활성화 시킬때 주로 사용한다. // 오류 발생시 오른쪽끝에 파일이름/오류위치를 알려준다 demo1.html:8 (오류위치) 클릭시 노란색으로 오류위치 확인가능. SyntaxError 가 발생했다 유효하지 않은 문법이 발생했다는 내용 ***
2021.07.0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