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ndroid(2)
-
PX/DP/DPI
# px - 화면을 구성하는 최소단위 - 전체화면 크기와 상관없이 지정한 수치 만큼 표시되는 절대적인 표시단위 - 스크린 안에서만 정확하고 현실에서는 기기마다 다르게 나타남 # dp [ device independence Pixel ] - 독립화소, 쉽게말해 디스플레이의 해상도(밀도)와 상관없는 단위 - dp를 사용하면 기기마다의 차이를 고민하지 않고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가능 - 안드로이드에서는 dp를 주로 사용함 (아이폰은 pt단위) - 디바이스의 크기에 따라 각종 요소들을 확대/축소 해주기 위해 만들어진 단위 # dpi [ Dot per inch ] - 1인치 (2.54cm)에 들어있는 픽셀의 수 - pc 모니터는 기본적으로 72dpi / 요즘엔 144도 많이씀 - 안드로이드에서는 mdapi = 16..
2021.02.26 -
Android app (디자인참고)
8 point grid system 화면의 마진이나 간격, 버튼크기 등을 9배수 단위로 구성하는 방법 (16,24,40,48등) 디바이스가 그래픽을 랜더링하는데 홀수일경우 오프셋 되는 등 어려움이 있기때문에 짝수로 처리해야한다. 8의 경우 1.5배 등과 같이 0.5배일때도 짝수의 값이 유지된다. 일반적으로 많은 화면의 해상도가 8의 배수이다. (320, 480, 640, 1280, 1920 등)=대응이 편리해진다. 폰트 시스템이나 더 정교한 디자인의 경우 4point system을 적용하기도 한다. (너무 조밀하며 일관성 맞추기가 조금 힘들다) 버튼 크기 42px 미만 / 72px 이상의 버튼에서 터치 정확도가 낮다. 72px버튼의 터치 정확도,사용자의 선호도가 가장 높고 버튼의 우선순위 따라 크기를 배..
2021.02.19